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슈

[시사] 청와대 복귀, 왜 내년으로 넘어갈 수도 있나?

by 쥑쥑팩트 2025. 10. 9.
반응형

청와대 복귀(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이미지)


💡 이재명 정부가 청와대로 복귀하는 날을 기대하며

저는 전 정무가 들어서면서 용산으로 대통령실을 옮긴다고 했을때, 도저히 이해를 못하는 사람 중에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청와대를 관람시설로 개방했을 때는 더 참담한 마음을 가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지금 이재명정부가 청와대로 다시 복귀하는 것은 참으로 상징적인 일이 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런 마음에 이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물론 사람 마다 생각이 다르고 가치도 다릅니다. 하지만 양극화 되고 갈라지고 있는 대한민국을 보면서 안타까움이 앞섭니다. 이러함 마음에 이글을 준비하였습니다.


📅 복귀 일정, 왜 늦어지고 있나?

  • 시설 노후화: 청와대는 2022년 개방 이후 852만 명이 방문하며 내부 훼손이 심각한 상태입니다. 카펫, 벽면, 전기·통신 설비 등 전면 보수가 필요한 상황
  • 보수 공사 착수: 2025년 8월 1일부터 시민 관람을 중단하고 개·보수 작업 시작
  • 보안 인프라 강화 필요: 용산 대통령실보다 청와대가 보안·통신·경호 인프라가 우수하다는 평가
  • 순차 이전 가능성: 일부 부서부터 먼저 옮기고, 전체 이전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

💸 국민 혈세 논란, 정당한가?

2022년 윤석열 정부는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며 약 378억 원의 예산을 사용했습니다.
이번 청와대 복귀에는 약 119억 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이전보다 31% 절감된 수치입니다.

하지만 국민 입장에서는
용산 이전 → 청와대 복귀 → 다시 보수 공사
이런 반복되는 행정 결정이 정치적 상징성에 휘둘린 결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어떤 분 때문에 쓰잘떼기 없는 국민의 생돈을 쓰게 되었네요?”

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 마무리 하며

청와대는 국민에게는 대통령의 집무실이 있는 곳이며 정치의 일번지로 머리에 각인되어 왔다. 그래서 용산으로 대통령의 집무실을 이전할때, 거부감이 상당히 강하였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청와대 복귀를 선언하였을때, 참 으로 막힌 속을 뚫어주는 느낌 들었다.

하지만, 한동안 아무 소식도 없어서 굉장히 갑갑함이 있었다. 이제 와서 올해를 넘길 수 있다는 소식은 서운함이 앞 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루 속히 청와대 모든 이전 준비가 완료되어 청와대 정치가 다시 시작되기를 기원해 본다. 


📌 출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