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슈

[시사칼럼] 청와대 복귀, 왜 내년으로 넘어갈 수도 있나?

by 쥑쥑팩트 2025. 10. 9.

청와대 복귀(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이미지)


2025년 하반기, 청와대 복귀를 둘러싼 논의가 다시 뜨겁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와대 집무실 복귀를 추진 중이지만, 일정이 지연되며 “내년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 배경과 논란을 정리해봅니다.


📅 복귀 일정, 왜 늦어지고 있나?

  • 시설 노후화: 청와대는 2022년 개방 이후 852만 명이 방문하며 내부 훼손이 심각한 상태입니다. 카펫, 벽면, 전기·통신 설비 등 전면 보수가 필요한 상황
  • 보수 공사 착수: 2025년 8월 1일부터 시민 관람을 중단하고 개·보수 작업 시작
  • 보안 인프라 강화 필요: 용산 대통령실보다 청와대가 보안·통신·경호 인프라가 우수하다는 평가
  • 순차 이전 가능성: 일부 부서부터 먼저 옮기고, 전체 이전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

💸 국민 혈세 논란, 정당한가?

2022년 윤석열 정부는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며 약 378억 원의 예산을 사용했습니다.
이번 청와대 복귀에는 약 119억 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이전보다 31% 절감된 수치입니다.

하지만 국민 입장에서는
용산 이전 → 청와대 복귀 → 다시 보수 공사
이런 반복되는 행정 결정이 정치적 상징성에 휘둘린 결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어떤 분 때문에 쓰잘떼기 없는 국민의 생돈을 쓰게 되었네요?”

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 청와대의 상징성과 정치적 의미

청와대는 단순한 건물이 아닙니다.

  • 대한민국 대통령의 역사적 집무 공간
  • 국민과의 소통 상징
  •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공간

정권마다 상징을 바꾸기 위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들이는 행위는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행정의 일관성과 효율성에도 의문을 남깁니다.


📌 출처


🏷️ 해시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