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슈

[부동산]부자만 배불리는 '왔다리 갔다리' 부동산 정책, 진보냐 보수냐 그게 문제다

by 쥑쥑팩트 2025. 10. 8.
반응형

부동사정책 문제점(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 이미지)


💡 왜 대한민국에서 집을 사기가 그렇게 어려운 것인가요?

제가 사는 원주지역에서 아파트 가격이 7~8억원이 간다는게 제 상식선에서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계속 오르기만 하는 아파트 가격 특히 신규 아파트를 중심으로 하여 치솟는 아파트 가격에 대해서는 항상 의문점을 가질 수 밖에 업었습니다. 
그리고 왜 정권이 바뀔때마다 새로운 부동산 정책이 나오는지 궁금하였습니다. 그래서 이글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 정권이 바뀔 때마다 흔들리는 부동산 정책

  • 진보 정권: 시장 개입을 통해 가격 안정과 주거 복지를 추구합니다. 다주택자 규제, 대출 제한, 공공임대 확대 등이 대표적입니다.
  • 보수 정권: 시장 자율을 중시하며 거래 활성화와 공급 확대에 초점을 둡니다. 재건축 완화, 세금 감면, 대출 규제 해제 등이 포함됩니다.

이처럼 정권 성향에 따라 정책 방향이 정반대로 움직이다 보니, 시장은 혼란을 겪고 예측이 어려워집니다.


⏳ 정책 효과는 늦게 나타난다

부동산 정책은 발표 즉시 효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공급 확대 정책은 실제 입주까지 수년이 걸리고, 규제 정책도 시장 심리에 따라 반응이 지연되죠.

예를 들어:

  • 문재인 정부는 강력한 규제를 펼쳤지만, 초저금리와 유동성 확대 속에서 집값은 급등했습니다.
  • 윤석열 정부는 규제를 완화했지만,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로 집값은 하락했습니다.

💸 결국 부자만 유리한 구조?

  • 정보력과 대응력: 자산가들은 정책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버티기 전략: 여러 채를 가진 사람은 단기 규제에도 버틸 수 있는 여력이 있습니다.
  • 장기 투자: “언젠가는 오른다”는 믿음으로 장기 보유하며 임대 수익과 자산 상승을 동시에 누립니다.

반면 무주택자나 청년층은 정책 불확실성에 흔들리고, 대출 규제와 금리 부담에 취약해 진입 자체가 어렵습니다.

부동산(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 일관성 없는 정책, 실패의 반복?

정권마다 정책이 바뀌는 이유는 정치적 이념, 유권자 기반, 상징적 성과에 대한 욕심 때문입니다. 많은 정책이 시행령 중심이라 쉽게 바뀌기도 하죠. 하지만 이런 반복은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결국은 정책이 시장을 이끄는 게 아니라 시장이 정책을 흔드는 구조를 만듭니다.


✍️ 마무리하며

저는 부동산 정책에서 있어서는 보수 정권에 문제가 많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을 보면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정권이 바뀔때마다 바뀌는 부동산 정책으로 인하여 주택이 필요한 사람이 주택을 구입하기는 참으로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진보 정권이든 보수 정권이든 정책을 바꾸지 말고 꾸준하게 밀고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은 단순한 자산이 아니라 국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이 흔들리는 구조는 실수요자에게 불리한 환경을 만듭니다. 이제는 정권 성향을 넘어서 일관성 있고 예측 가능한 정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콘텐츠 안내문
이 글은 한국의 부동산 정책 변화와 그로 인한 자산 불균형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개인적 의견입니다. 특정 정권이나 인물에 대한 지지 또는 반대 의도는 없으며, 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 출처

  1. 서울경제: 서울 집값, 결국 또 올라… 정부 '더 센 카드' 꺼내드나
  2. KB의 생각: 부자만 아는 부동산 투자법
  3. 소노마100: 월세 수익률 극대화하는 부동산 구조
  4. 비즈한국: '부자 보고서'로 본 고액 자산가의 투자 전략
  5. 한국경제: 강남 재건축 기대감에 집값 반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