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냉장고를 부탁해가 아니라 민심을 부탁해
처음에는 왜 저게 쟁점화되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되었습니다. 여당이든 야당이든 어떤 대책을 세우기 보다는 남을 어떻게 해서든지 깍아내리려고 쟁점화하는 것이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분명한 것은 냉장고를 부탁해는 통계청 사고가 터지기 전에 찍은 것인데, 왜 이렇게까지 문제가 되는 것인지 안타까운 마음 뿐입니다. 이제는 좀 여든 야든 정쟁은 멈추고 민생을 위한 정치를 하였으면 하는 마음에 이글을 준비하였습니다.
🧊 냉부해 출연, 대통령실의 전략인가 실책인가
대통령 부부가 출연한 예능 프로그램 ‘냉장고를 부탁해’는 연휴 초반부터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그 시점은 공교롭게도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와 겹쳤고, 대통령실은 “사전 녹화였다”는 해명을 내놨지만, 국민의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국민은 냉장고 속 반찬보다, 국가 시스템의 안정성을 더 궁금해 한다. 대중과 소통하려는 시도는 좋았지만 타이밍과 메시지 관리에서 대통령 실은 분명히 민심을 놓친 것이 살이다.
🧱 국힘당, 민생 강조 속 정쟁 유도?
국민의힘은 연휴 내내 “민생을 챙기자”는 메시지를 반복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민주당의 ‘내란세력당 해제’ 주장에 반박하며
정쟁 프레임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민주당은 국정 발목만 잡는다”
- “내란 프레임은 국민 분열을 조장한다”
- “정치보복보다 민생이 먼저다”
이런 메시지는 보수 지지층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중도층에게는 피로감과 실망감을 줄 수 있습니다. 민생을 말하면서도 구체적 대책은 보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민주당, 내란 프레임에 갇힌 전략
한편 민주당은 연휴 기간 동안 국민의힘과 대통령실을 향해 “내란세력당 해제”를 주장하며 강하게 몰아붙였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정책 대안 없는 공세로 비칠 수 있습니다.
- 대통령실의 예능 출연 비판
- 전산망 마비 책임론 제기
- 내란 프레임 강화
물론 문제 제기는 필요합니다. 하지만 국민이 원하는 건 대안과 해결책이지, 끝없는 공방전은 아닙니다.
📉 결국, 국민은 피로하다
정치권의 메시지는 강했지만, 그 속에 국민의 삶을 위한 실질적 대책은 없었습니다.
- 물가 상승, 주거 불안, 의료비 부담
- 청년 실업, 고령층 복지, 지역 격차
이런 문제들에 대해 여야 모두 구체적 해법을 제시하지 못한 채, 이미지 정치와 프레임 싸움에 몰두한 모습은
국민에게 실망과 냉소를 안겨줬습니다.
🧭 마무리하며
트럼프로 인한 약육강식의 밀림의 세계가 되면서 한국의 새로운 자리 잡기는 상당히 중요한 시기가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나라 사정은 어렵기만하다. 정치권에 어떤 기대를 걸기에는 너무나 한심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정권이 바뀌면 좀 나아지려나 했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고 있다. 한국 정치는 이제 정쟁을 멈추고 실리를 챙키는 그런 정치를 해야 할때 이다. 국민들은 너무 지쳐 있다. 조금이라도 정치권은 국민들을 위한 정치를 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 관련 출처
'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사] 중국을 이해한다는 것 — 감정이 아닌 전략으로 경제를 살리는 길 (0) | 2025.10.10 |
|---|---|
| [시사] 청와대 복귀, 왜 내년으로 넘어갈 수도 있나? (0) | 2025.10.09 |
| [부동산]부자만 배불리는 '왔다리 갔다리' 부동산 정책, 진보냐 보수냐 그게 문제다 (0) | 2025.10.08 |
| [연예]황보라 아들의 ‘어마어마한 재산’, 도덕적으로는 괜찮은 걸까? (0) | 2025.10.08 |
| 생활정보 : 이중화 시스템의 실패가 드러낸 디지털 행정의 허점 (0) | 202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