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스포츠]⚽ 한계를 드러낸 김민재, 그것을 유발한 홍명보 감독

by 쥑쥑팩트 2025. 10. 11.

한계를 드러낸 김민재그리고 홍명보감독(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3백 시스템은 완벽한 팀에서만 가능한 전술이다

한국 축구는 최근 몇 년간 전술적 다양성을 모색해왔다. 그중 가장 논란이 된 시도는 바로 3백 시스템이다. 그리고 그 실험의 중심에는 김민재가 있었고, 그 선택의 책임은 홍명보 감독에게 돌아간다.


🧱 김민재, 세계적 수비수의 대표팀 딜레마

김민재는 나폴리와 바이에른 뮌헨에서 활약하며 세계적 수비수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대표팀에서는 그 위상이 오히려 부담이 되었다.

3백 시스템의 중심축으로 기용된 그는 넓은 커버 범위와 빌드업까지 요구받았지만, 대표팀의 조직력은 그를 뒷받침하지 못했다.

브라질전, 요르단전 등 주요 경기에서 김민재는 실수와 혼란의 중심에 있었다. 그의 실수는 개인의 한계라기보다, 과도한 역할 부여와 전술적 미숙함의 결과였다.

🧠 홍명보 감독, 실험인가 무모함인가

홍명보 감독은 “좋은 중앙 수비수가 많다”는 이유로 3백을 꺼내 들었다. 하지만 강팀을 상대로 한 실험은 결과적으로 선수들의 혼란과 수비 붕괴로 이어졌다.

특히 김민재의 결장 시, 대체 자원 없이 3백을 고수한 선택은 전술적 유연성 부족을 드러낸 대목이었다.


⚠️ 3백 시스템은 아무 팀에게나 허용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3백 시스템은 완벽한 전술 운영이 가능한 팀에서나 가능한 전술이라는 것이다.

  • 수비 간 거리 조절
  • 미드필드와의 연계
  • 측면 커버
  • 빌드업의 안정성

이 모든 요소가 정교하게 맞물려야만 3백은 빛을 발한다. 한국 대표팀은 아직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 시스템의 실패, 인물의 희생

김민재는 실패한 3백의 ‘원흉’이 아니라, 준비되지 않은 시스템 속에서 희생된 핵심 자원이었다.

홍명보 감독은 전술적 실험을 통해 가능성을 보려 했지만, 그 실험은 결과적으로 김민재에게 과도한 책임을 떠넘기는 구조가 되어버렸다.


🧭 앞으로의 방향

  • 3백은 가능성 있는 카드지만, 조직력과 커버 능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 김민재 중심의 수비는 여전히 유효하지만, 그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 감독은 전술 실험 이전에 선수단의 이해도와 적응력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한국 축구는 지금, 시스템과 인물 사이의 균형을 다시 설계해야 할 시점이다. 김민재는 한계를 드러낸 것이 아니라, 한계를 드러내게 만든 구조 속에 있었다. 그리고 그 구조를 설계한 이는 감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