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이재명 파기환송심의 시작은 유동규였다

by 쥑쥑팩트 2025. 9. 24.
반응형

35회차 | 김하성 10연속 안타[연결] | 현재 36회차 | 37회차 |">[연결]

2025년 5월, 대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일부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로써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으로 다시 넘어가며, 이재명 대표는 정치적·법적 중대 고비를 맞이하게 되었죠.

그런데 이 모든 흐름의 출발점, 바로 유동규라는 인물입니다.


🔍 유동규, 단순한 내부자가 아니었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습니다. 그는 단순한 공사 직원이 아니라, 사업 구조와 인물 관계를 꿰뚫고 있는 핵심 연결고리였죠.

그가 검찰 수사에 협조하며 이재명 대표와의 관계, 사업의 의사결정 과정 등을 상세히 진술하면서, 사건의 방향은 급격히 바뀌었습니다. 특히 그의 발언은 이재명 대표의 “김문기를 몰랐다”, “백현동은 국토부 협박 때문”이라는 발언의 진실성을 흔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 대법원의 판단, 유동규의 진술이 만든 흐름

대법원은 이재명 대표의 두 발언을 허위사실 공표로 판단하며, 2심 무죄 판결을 뒤집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유동규의 진술은 핵심 증거로 작용했고, 그가 제공한 내부 자료와 증언은 재판부의 판단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즉, 파기환송심의 문을 연 열쇠는 유동규의 입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국민의 시선, 법과 정의 사이

유동규는 이후 법정에서 “이재명의 성공을 위해 범죄에 가담했다”고 말하며,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가 무죄를 받게 된다면, 많은 국민들은 이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법적 판단과 별개로 도덕적 책임, 정치적 파장, 그리고 공공 신뢰는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 이재명의 정치적 운명, 유동규가 흔들다

파기환송심에서 벌금 100만 원 이상이 확정되면, 이재명 대표는 국회의원직을 상실하고 5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됩니다. 이는 단순한 법적 결과를 넘어, 향후 대선 구도와 민주당의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결국 유동규의 입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 마무리하며

정치와 사법이 교차하는 이 복잡한 사건에서, 유동규는 단순한 참고인이 아니라 사건의 촉매제였습니다. 그의 진술 하나가 이재명 대표의 운명을 흔들었고, 국민의 판단을 시험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묻습니다.
법은 정의를 구현했는가, 아니면 정치의 도구가 되었는가.
그리고 유동규는 진실을 말한 것인가, 아니면 또 다른 게임의 말이었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