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이슈

[생활정보]기준중위소득 6.51% 인상! 생계급여 200만 원 시대, 우리 가족은 어떻게 달라질까?

by 쥑쥑팩트 2025. 11. 5.

기준중위소득(이미지 출처 : 코파일럿 생성 이미지)


2026년부터 기준중위소득이 6.51% 인상되면서, 생계급여를 포함한 복지 혜택이 대폭 확대됩니다. 특히 4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가 월 200만 원을 넘어서면서, 저소득층 가구의 생활 안정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기준중위소득이란 무엇이고, 우리 가족(예: 부부 + 고3 자녀)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기준중위소득의 의미부터 생계급여 수급 기준, 실제 적용 사례까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소득을 말합니다. 정부는 이 수치를 기준으로 복지 혜택의 대상자를 정합니다.

예를 들어, 기준중위소득의 30% 이하인 가구는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고, 45% 이하인 가구는 주거급여 대상이 됩니다. 즉, 기준중위소득이 오르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도 함께 올라가게 됩니다.

 

중위소득(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출처: 보건복지부 공식 보도자료


2️⃣ 2026년 기준중위소득 인상 내용

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생계급여 기준 (32%)
1인 가구 2,564,238원 약 820,556원
3인 가구 5,359,036원 약 1,714,892원
4인 가구 6,494,738원 약 2,078,316원

출처: 정보조 티스토리 블로그


3️⃣ 생계급여란 무엇인가요?

생계급여는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가구에 정부가 생활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수급 대상이 되면 매달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인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1,600,000원이라면 생계급여로 약 114,892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마더복지 티스토리 블로그


4️⃣ 실제 사례: 부부 + 고3 자녀

  • 가정 구성: 부부 + 고등학교 3학년 자녀
  • 월 소득: 1,500,000원
  • 재산: 5,000만 원 (환산 후 약 100,000원/월)
  • 소득인정액: 약 1,600,000원
  • → 생계급여 기준(1,714,892원)보다 낮으므로 수급 가능
  • → 지급액: 1,714,892원 – 1,600,000원 = 114,892원/월

출처: 인포캣 블로그


5️⃣ 복지 확대의 의미와 변화

  • 아동수당 확대: 만 8세 → 만 12세까지 단계적 확대
  • 청년미래적금 도입: 정부가 최대 12% 매칭 적립
  • 노인 일자리 확대: 110만 개 → 115만 개
  • 장애인 활동 지원 확대: 주간활동 서비스 및 일자리 예산 증액

장애인 활동지원(이미지 출처 : 픽사베이)

출처: 조선비즈


✅ 결론: 우리 가족에게 어떤 변화가 올까?

2026년 기준중위소득 인상은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특히 저소득층 가구는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됩니다.

부부와 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3인 가구라면, 자신의 소득과 재산을 기준중위소득과 비교해보고, 복지 혜택을 적극적으로 신청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복지 확대 정책을 잘 활용하면, 더 안정된 생활을 누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