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격보다 중요한 건 보유 동기와 서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최근 국민의힘 장동혁 의원이 “아파트 4채를 다 합쳐도 8억 5000만 원”이라고 밝히며 부동산 논란에 대해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이 문제 삼는 건 단순한 자산 규모가 아니라, 왜 4채나 보유하고 있느냐는 보유 동기입니다. 특히 부동산 불균형과 다주택 논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치인의 자산 보유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 실거주 목적? 구조상 설득력 부족
장 의원은 구로구 아파트, 국회 인근 오피스텔, 충남 보령·서천, 진주 아파트 지분 등 총 4채를 보유 중입니다. 지역이 분산돼 있고, 일부는 실거주가 사실상 어려운 위치입니다. 물리적으로 동시에 거주하기 어려운 구조에서 “실거주 목적”이라는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게다가 국회 인근 오피스텔은 업무 편의 목적이라 해도, 나머지 지방 아파트까지 실거주로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 국민 정서와 괴리
다주택 보유는 여전히 민감한 이슈입니다. 특히 부동산 정책을 다루는 정치인이라면 더 높은 기준의 공감 능력과 투명성이 요구됩니다. “김병기·이재명 의원 아파트와 바꾸자”는 발언은 역설적 표현이지만, 국민 입장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말장난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이런 해명은 오히려 논점을 흐리고,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자초할 수 있습니다.
🧭 핵심은 ‘몇 채냐’
자산 규모보다 중요한 건 보유 수와 목적입니다. 4채 모두 실거주라고 주장하기엔 구조상 무리가 있고, 국민들은 “왜 그렇게 많이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진정성 있는 답변을 원합니다. 특히 무주택자나 1주택 실거주자 입장에서는, 다주택 보유 자체가 기회의 불균형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 서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정책 신뢰 저하: 부동산 정책을 만드는 사람이 다주택자라면, 정책의 진정성과 공정성에 대한 의심이 커집니다.
- 시장 불안 심화: 다주택 보유가 일반화되면,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이 흔들리고 투기 심리가 자극됩니다.
- 심리적 박탈감: 무주택 서민은 “나는 왜 집 한 채도 못 사는데, 정치인은 4채나?”라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낍니다.
- 정책 수용성 저하: 다주택자 중심의 정치 구조는 서민층의 정책 수용성을 떨어뜨리고, 사회적 갈등을 키울 수 있습니다.
- 청년층의 좌절감: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청년층은 정치인의 다주택 보유를 보며 미래에 대한 불신을 키우게 됩니다.
✍️ 마무리
정치인의 부동산 보유는 법적 기준을 넘어서 공감과 신뢰의 문제입니다. 해명보다 중요한 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태도와 설명입니다. 특히 서민 경제가 흔들리는 시기에는, 더 높은 도덕성과 투명성이 요구됩니다. 정치인의 자산 보유는 단순한 개인 선택이 아니라, 공적 책임의 영역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출처
'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예]연예인의 정치색,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까? – 김흥국 복귀를 보며 (0) | 2025.10.21 |
|---|---|
| [시사]캄보디아에 군대를 보내야 할까? (0) | 2025.10.19 |
| [시사]이진숙, 대구시장 될 수 있을까:국민의힘 공천 가능성과 경쟁자 분석 (0) | 2025.10.19 |
| [시사]오동운과 공수처의 운명: 권력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정의 (0) | 2025.10.18 |
| [시사]공산주의 국가에서 범죄가 활개치는 이유는?미얀마·캄보디아 사례로 본 구조적 분석 (0) | 2025.10.18 |